chapter 1. 관리도의 개요

 

1. 관리도의 개념

 

관리도란 공정의 관리상태 유무를 그래프로서 조사하여, 공정을 안정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통계적 관리기법

 

2. 관리도의 종류

 

반응형
LIST

chapter 6. 축차 샘플링검사

 

1.계수값 축차 샘플링 검사(KS Q ISO 8422)

 

 

2. 계량값 축차 샘플링검사(KS Q ISO 8423) (부적합품률)

 

 2.1 용어정의

 

 2.2 샘플링검사 설계

 

  (1) 한쪽 규격

  (2) 연결식 양쪽 규격(각 한계에 같은 AQL을 규정)

반응형
LIST

chapter 5. 계수값 샘플링 검사

 

1. 계수값 샘플링검사 서론(KS Q ISO 2859-0)

연속의 로트로서 제출된 제품의 검사인 AQL 지표형 샘플링검사(KS Q ISO 2859-1), 지정된 AQL보다 품질이 우수한 로트의 검사개수를 줄이는 방법인 스킵로스 샘플링검사(KS Q ISO 2859-3), 고립로트의 검사인 LQ 지표형 샘플링검사(KS Q ISO 2859-2)가  있다.

 

2. AQL 지표형 샘플링검사(KS Q ISO 2859-1)

 

 2.1 적용범위 및 특징 

 

 

 2.2 실시상의 주의사항

 

 2.4 전환점수

 

  (1) 1회 샘플링 방식

  • 합격판정개수가 0 또는 1일때 로트가 합격이면 전환점수에 2를 더하고 그렇지 않으면 전환점수를 0으로 되돌린다.
  • 합격판정개수가 2 이상일 때, 로트가 합격이되고, AQL이 한 단계 엄격한 조건에서 합격이 되면, 전환점수에 3을 더하고, 그렇지 않으면 전환점수를 0으로 되돌린다.

 2.5 분수합격판정개수의 1회 샘플링 방식

  • 소관권한자가 승인했을 때 사용 가능
  • 주 샘플링검사표의 합격판정개수가 0과 1의 중간에 화살표로 된 2개의 난(수월한 검사는 3개의 난) 대신 사용
  • 화살표 대신 1/5(수월한 검사에만 적용), 1/3 및 1/2이라는 분수합격판정개수를 사용
  • 특별한 규정이 없으면 표준절차에 따른다.

 (1) 샘플링 방식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

  합부판정점수(As)를 사용하여 합부판정을 결정한다.

  • 보통검사, 까다로운 검사, 수월한 검사의 개시시점에서는 합격판정점수를 0으로 되돌린다.
  • Ac=0이면 합부판정점수는 바뀌지 않는다.

        Ac=1/5이면 합부판정점수에 2를 가산한다.

        Ac=1/3이면 합부판정점수에 3를 가산한다.

        Ac=1/2이면 합부판정점수에 5를 가산한다.

        Ac=1 이상이면 합부판정점수에 7를 가산한다

  • 합부판정점수 ≤ 8 이면 Ac=0, 합부판정점수 ≥ 9 이면 Ac=1, 만일 주어진 합격판정개수가 정수이면 합격판정개수는 바뀌지 않는다.
  • 만일 샘플 중에 1개 이상의 부적합품이 발견된 경우에는 합부판정점수를 0으로 되돌린다.

3. LQ 지표형 샘플링검사(KS Q ISO 2859-2)

 

 3.1 적용범위

  • LQ에 따른 계수값 합부판정샘플링검사의 샘플링방식 및 샘플링검사 절차에 대하여 규정
  • KS Q ISO 2859-1과 병용이 가능하고, KS Q ISO 2859-1의 전환규칙이 적용되지 않을 때 사용
  • 샘플링방식은 관겨품질(LQ)의 표준값을 지표로 한 샘플링 방식을 제시
  • LQ 에서는 소비자 위험은 통상 10%미만, 나빠도 13% 미만이다.
  • LQ는 통상 AQL의 3배 이상으로 단기간 로트의 품질보증방식이다.

 3.2 샘플링검사의 절차

 

 

4. 스킵로트 샘플링검사(KS Q ISO 2859-3)

 

 4.1 적용범위 및 특징

  • 제출된 제품에 대한 검사 노력의 감소를 도모하는 샘플링 방식
  • 공급자가 모든 면에서 그 품질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능력이 있을것을 실증하고, 요구조건에 합치하는 로트를 계속적으로 생산하는 경우에 적용
  • KS Q ISO 2859-1에 기술된 로트별 계수값 샘플링 방식과 함께 사용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 고립로트의 경우에는 사용이 불가능하다.
  • 검사특성값이 KS Q ISO 2859-1에 설정되어 있는 계수값의 경우에만 사용 가능
  • KS Q ISO 2859-1의 검사가 통산 검사 수준 Ⅰ, Ⅱ, Ⅲ에서 보통검사, 수월한 검사 혹은 보통검사와 수월한 검사의 조합인 경우에만 실시된다.
  • 합격판정개수가 0의 1회 샘플링 방식은 규격에서는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 수월한 검사는 제품이 로트별 검사 상태에 있을 때에는 사용할 수 있으나, 스킵로트 검사 또는 스킵로트 중단의 상태에 있을 때에는 사용할 수 없다.
  • 스킵로트 샘플링검사는 수월한 검사보다 비용적으로 유리한 경우에는 수월한 검사 대신에 사용할 수 있다.
  • 자격심사기간 중 1로트라도 까다로운 검사를 받으면 자격을 상실한다.
  • 인원의 안전에 관계하는 제품 특성의 검사에는 스킵로트 절차를 적용하지 않는다.

 4.2 스킵로트 절차

  공급자 자격심사의 조건에 적합한 공급자에 의하여 제품의 자격심사조건에 적합하여 생산되면 스킵로트 검사를 할 수가 있으며, 스킵로트 검사의 절차에는 3개의 기본적 상태가 존재하게 된다.

  • 상태 1 : 로트별 검사
  • 상태 2 : 스킵 로트 검사
  • 상태 3 : 스킵 로트 중단

 

반응형
LIST

chapter 4. 계량값 샘플링검사

 

1. 계량 규준형 샘플링 검사(KS A 0001)

 

 1.1 로트의 평균치를 보증하는 방법

 

 1.2 로트의 부적합품률을 보증하는 방법

 

 

2. 계량 규준형 샘플링검사(KS Q 0001)

 

반응형
LIST

chapter 3. 샘플링검사와 OC곡선

 

검사특성곡선(OC 곡선)은 로트의 부적합품률 p(%)(계수치), 특성치 m(계량치)를 가로축에, 로트가 합격하는 확률 L(p)(계수치), L(m)(계량치)를 세로축에 잡아 양자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1. L(p)를 구하는 방법

 2. OC 곡선의 성질

반응형
LIST

Chapter 02. 각종 샘플링법과 이론

 

1. 샘플링에서의 용어 정리

2. 샘플링 종류

 2.1 랜덤샘플링

 2.2 층별샘플링

 2.3 취락샘플링

  • 모집단을 몇 개의 층(M)으로 나누어 그 층 중에서 몇 개의 층(m)을 랜덤샘플링하여 취한 층 안을 모두 조사하는 방법
  • 층간은 균일하게, 층내는 불균일하게 취락으 만들면 추정 정밀도가 좋아진다.

 2.4 2단계 샘플링

  • 정밀도가 층별, 취락 샘플링보다 나쁘다.

3. 샘플링오차와 측정오차

 3.1 단위체의 경우(축분. 혼합이 행하여지지 않는 경우

  시료를 n 개취하여 각 시료를 k회 측정하여 평균하는 경우

 3.2 집합체의 경우(축분. 혼합이 행하여 질 때)

  ① 시료를 n개 취하여 각 1회씩 축분하여 분석만을 k회 반복하여 평균하는 경우

 

   ② 시료를 n 개 취하여 전부를 혼합하여 혼합시료로 하고 그것을 1회 축분하여 조제한 분석시료를 k회 분석하는 경우

반응형
LIST

 

 chapter. 01  검사의 개요

 

1. 검사의 종류

 

 1.1 검사가 행해지는 공정(목적)에 의한 분류

  ① 수입(구입) 검사

  ② 공정(중간) 검사

  ③ 최종(완성) 검사

  ④ 출하검사

 

 1.2 검사가 행해지는 장소에 의한 분류

  ① 정위치검사

  ② 순회검사

  ③ 출정 (외주) 검사

 

 1.3 검사의 성질에 의한 분류

  ① 파괴검사(반드시 샘플링 검사)

  ② 비파괴검사

  ③ 관능검사

 

 1.4 검사방법에 의한 분류

  ① 전수검사

  ② 무검사

  ③ 로트별 샘플링 검사

  ④ 관리 샘플링 검사(체크검사)

 

 1.5 검사항목에 의한 분류

  ① 수량검사

  ② 중량검사

  ③ 치수검사

  ④ 외관검사

  ⑤ 성능검사

 

2. 검사의 계획

 

3. 샘플링검사의 개념정리

 

 - 반드시 전수검사

  • 부적합품이 1개라도 혼입되면 안 되는 경우
  • 안전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경우(브레이크 작동시험, 고얍용기의 내압시험)
  • 경제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는 경우(귀금속류)
  • 부적합품이 다음 공정에 커다란 손실을 줄 경우
  • 검사비용에 비해 얻어지는 효과기 큰 경우

 - 반드시 샘플링 검사

  • 파괴검사인 경우
  • 연속체 또는 대량품인 경우

 3.1 샘플링검사가 유리한 경우(전수검사에 비해)  
  ① 다수. 다량의 것으로  정도 부적함품의 혼입이 허용되는 경우

  ② 검사항목이 많은 경우

  ③ 불완전한 전수검사에 비해 높은 신뢰성을 얻을 수 있는 경우

  ④ 생산자에게 품질 향상의 자극을 주고 싶은 경우

 

 3.2 샘플링검사의 조건

  ① 제품이 로트로 처리될 수 있을 것

  ② 합격로트에 어느 정도의 부적합품이 섞여 들어가는 것을 허용할 것

  ③ 품질기준이 명확할 것

  ④ 시료의 샘플링은 랜덤성이 있을 것

  ⑤ 계량샘플링검사에서는 검사단위의 특성치 분포를 대략 알고 있을 것

 

4. 검사단위 품질표시방법

 

 (1) 적합품.부적합품에 의한 표시방법

  ① 치명부적합품

  ② 중부적합품

  ③ 경부적합품

  ④ 미부적합품

 

 (2) 부적합수에 의한 표시방법

  ① 치명부적합

  ② 중부적합

  ③ 경부적합

  ④ 미부적합

 

 (3) 특성치에 의한 표시방법

  검사단위의 특성을 측정하여 그 측정치에 따라 품질을 나타내는 방법(계량치)

 

 (4) 로트의 품질표시방법

  ① 부적합품률(%)

  ② 부적합수

  ③ 평균치

  ④ 표준편차

 

 (5) 시료의 품질표시 방법

  ① 부적합 개수

  ② 평균 부적합수

  ③ 평균치

  ④ 표준편차

  ⑤ 범위

 

반응형
LIST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