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단백질, 우유, 밀가루 등의 질소를 정량하는 방법, 고체를 황산 용액 속에서 가열하여 삭혀 질소를 암모늄이온으로 변화 시키며 수은 구리 등을 삭임 과정 촉매로 사용하는 이 분석 방법은?

 

 켈달질소분석법

 

2. EDTA 적정 시 염기성 용액에서 보조 착화제가 하는 역할 ?

 

EDTA와 반응 하는 양이온이 염기성 용액에서는 보통 수산화물 침전을 만들어 EDTA 적정에 방해를 하게 된다. 이떄 NH3와 같은 보조 착화제를 넣으면 양이온이 보조 착화제와 결합 하므로 침전이 생기지 않으므로 방해 없이 EDTA 적정을 할 수 있다. 이때 보조착화제는 EDTA보다 금속이온과 더 약하게 결합하고 있어야 한다.

 

3. 정밀도, 정확도?

 

정밀도 : 실험값의 평균이 기준값과 얼나 떨어져 분포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척도

정확도 : 실험값의 평균이 참값과 얼마나 차이가 나는지 나타내는 척도

 

4. 미지시료에 기지 양의 분석물질을 첨가시킨 다음, 증가된 신호로 부터 원래 미지 시료 중에 얼마나 많은 양의 분석물질이 함유되어 있는가를 측정하는 방법은 ?

 

표준물 첨가법

 

5. 농도를 무시하는 백분율 중 W/V%에 대하여 설명

 

용질의 무게 / 용액의 부피 * 100

반응형
LIST

1. 표준 기준 물질이란 ?

 

함량이 정확히 알려진 분석물을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물질을 말한다.

 

2. 시료를 취하는 과정은 어떤 목적을 가지고 행하는가 ?

 

벌크시료의 평균 조성과 같은 수백 g 이하의 균일한 실험 시료를 만들기 위함.

 

3. 매트릭스 효과란 ?

 

미지 시료 중에 함유되어 있는 분석물을 제외한 모든 화학종.

 

4. Beer 법칙의 한계점 ?

 

- 본질적 한계로 낮은 농도에서만 적용

- 흡수물질이 다른 물질이 될 때 화학적 편차

- 다색 복사선을 이용할 경우 기기젹 편차

- 단색화된 및이라고 하지만, 실제는 완전히 단색화 된 빛이 아님.

- 흡수된 빛을 흡광도로 측정, 실제로는 공명현광, 산란 등의 빛도 측정

 

5. 산 염기 지시약의 변색원리

 

산염기 지시약은 약한 유기산 도는 약한 유기염기이며 이들은 pH에 따라 H+와 결합하거나 또는 해리하면서 분자내 전자배치구조가 변한다. 따라서 다른 가시복사선을 흡수함으로 인해 색의 변화가 일어남

 

반응형
LIST

 

1. 정량 분석을 하는 단계

 

분석문제 파악하기 - 분석방법 선택하기 - 벌크시료 취하기 - 시험시료 만들기 - 반복시료 만들기 - 용액시료 만들기 - 방해물질 제거하기 - 분석물 신호 파악하기 - 결과 계산하기 - 결과에 대한 신뢰도 평가하기

 

2. 표준 용액이 가져야할 성질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 정제하기 쉬워야 함.

- 흡수, 풍과, 공기 산화 등의 성질이 없어야 함.

- 오랫동안 보관하여도 변질이 되지 않아야 함.

- 반응이 정량적으로 진행되어야 함.

- 당량 중량이 커서 측량 오차를 감소시킬 수 있어야 함.

 

3. 분석할 때 가리움제를 넣어주는 이유는 ?

 

시료 내의 방해 화학종과 가리움제가 번저 반응하여 착물을 형성하고 이 착물이 분석물과 반응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함.

 

4. 검출한계란 ?

 

주어진 신뢰수준에서 신호로 검출 될 수 있는 분석물의 최소 농도

 

5. 표준용액을 만들 때 제 1차 표준물질의 당량 무게가 작은 것 보다 큰 것을 쓰는 이유는 ?

 

- 1차 표준물의 무게를 달 때 당량 무게가 큰 것을 달수록 무게달기의 상대오차가 적어지게 되므로 더 정확한 농도의 표준용액을 만들 수 있기 때문

- 흡수 물질이 해리, 화합 등으로 인해 다른 물질로 될 때 화학적 편차가 생김.

- 단색 복사선이 아닌 다색 복사선을 사용할 경우, 산란 복사선이 함께 들어올 경우, 셀의 위치가 제현성이 없을 경우 기기적 편차가 생김.

 

 

반응형
LIST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