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단백질, 우유, 밀가루 등의 질소를 정량하는 방법, 고체를 황산 용액 속에서 가열하여 삭혀 질소를 암모늄이온으로 변화 시키며 수은 구리 등을 삭임 과정 촉매로 사용하는 이 분석 방법은?
켈달질소분석법
2. EDTA 적정 시 염기성 용액에서 보조 착화제가 하는 역할 ?
EDTA와 반응 하는 양이온이 염기성 용액에서는 보통 수산화물 침전을 만들어 EDTA 적정에 방해를 하게 된다. 이떄 NH3와 같은 보조 착화제를 넣으면 양이온이 보조 착화제와 결합 하므로 침전이 생기지 않으므로 방해 없이 EDTA 적정을 할 수 있다. 이때 보조착화제는 EDTA보다 금속이온과 더 약하게 결합하고 있어야 한다.
3. 정밀도, 정확도?
정밀도 : 실험값의 평균이 기준값과 얼나 떨어져 분포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척도
정확도 : 실험값의 평균이 참값과 얼마나 차이가 나는지 나타내는 척도
4. 미지시료에 기지 양의 분석물질을 첨가시킨 다음, 증가된 신호로 부터 원래 미지 시료 중에 얼마나 많은 양의 분석물질이 함유되어 있는가를 측정하는 방법은 ?
표준물 첨가법
5. 농도를 무시하는 백분율 중 W/V%에 대하여 설명
용질의 무게 / 용액의 부피 * 100
'화학분석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학분석기사] 실기 내용 정리 ② (0) | 2021.01.14 |
---|---|
[화학분석기사] 실기 내용 정리 ① (0) | 2021.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