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 01 검사의 개요
1. 검사의 종류
1.1 검사가 행해지는 공정(목적)에 의한 분류
① 수입(구입) 검사
② 공정(중간) 검사
③ 최종(완성) 검사
④ 출하검사
1.2 검사가 행해지는 장소에 의한 분류
① 정위치검사
② 순회검사
③ 출정 (외주) 검사
1.3 검사의 성질에 의한 분류
① 파괴검사(반드시 샘플링 검사)
② 비파괴검사
③ 관능검사
1.4 검사방법에 의한 분류
① 전수검사
② 무검사
③ 로트별 샘플링 검사
④ 관리 샘플링 검사(체크검사)
1.5 검사항목에 의한 분류
① 수량검사
② 중량검사
③ 치수검사
④ 외관검사
⑤ 성능검사
2. 검사의 계획
3. 샘플링검사의 개념정리
- 반드시 전수검사
- 부적합품이 1개라도 혼입되면 안 되는 경우
- 안전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경우(브레이크 작동시험, 고얍용기의 내압시험)
- 경제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는 경우(귀금속류)
- 부적합품이 다음 공정에 커다란 손실을 줄 경우
- 검사비용에 비해 얻어지는 효과기 큰 경우
- 반드시 샘플링 검사
- 파괴검사인 경우
- 연속체 또는 대량품인 경우
3.1 샘플링검사가 유리한 경우(전수검사에 비해)
① 다수. 다량의 것으로 정도 부적함품의 혼입이 허용되는 경우
② 검사항목이 많은 경우
③ 불완전한 전수검사에 비해 높은 신뢰성을 얻을 수 있는 경우
④ 생산자에게 품질 향상의 자극을 주고 싶은 경우
3.2 샘플링검사의 조건
① 제품이 로트로 처리될 수 있을 것
② 합격로트에 어느 정도의 부적합품이 섞여 들어가는 것을 허용할 것
③ 품질기준이 명확할 것
④ 시료의 샘플링은 랜덤성이 있을 것
⑤ 계량샘플링검사에서는 검사단위의 특성치 분포를 대략 알고 있을 것
4. 검사단위 품질표시방법
(1) 적합품.부적합품에 의한 표시방법
① 치명부적합품
② 중부적합품
③ 경부적합품
④ 미부적합품
(2) 부적합수에 의한 표시방법
① 치명부적합
② 중부적합
③ 경부적합
④ 미부적합
(3) 특성치에 의한 표시방법
검사단위의 특성을 측정하여 그 측정치에 따라 품질을 나타내는 방법(계량치)
(4) 로트의 품질표시방법
① 부적합품률(%)
② 부적합수
③ 평균치
④ 표준편차
(5) 시료의 품질표시 방법
① 부적합 개수
② 평균 부적합수
③ 평균치
④ 표준편차
⑤ 범위
'품질경영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품질경영기사] unit 3. 샘플링 검사 ⑥ (0) | 2021.01.06 |
---|---|
[품질경영기사] unit 3. 샘플링 검사 ⑤ (0) | 2021.01.06 |
[품질경영기사] unit 3. 샘플링 검사 ④ (0) | 2020.12.22 |
[품질경영기사] unit 3. 샘플링 검사 ③ (0) | 2020.12.18 |
[품질경영기사] unit 3. 샘플링 검사 ② (0) | 2020.1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