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량 분석을 하는 단계
분석문제 파악하기 - 분석방법 선택하기 - 벌크시료 취하기 - 시험시료 만들기 - 반복시료 만들기 - 용액시료 만들기 - 방해물질 제거하기 - 분석물 신호 파악하기 - 결과 계산하기 - 결과에 대한 신뢰도 평가하기
2. 표준 용액이 가져야할 성질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 정제하기 쉬워야 함.
- 흡수, 풍과, 공기 산화 등의 성질이 없어야 함.
- 오랫동안 보관하여도 변질이 되지 않아야 함.
- 반응이 정량적으로 진행되어야 함.
- 당량 중량이 커서 측량 오차를 감소시킬 수 있어야 함.
3. 분석할 때 가리움제를 넣어주는 이유는 ?
시료 내의 방해 화학종과 가리움제가 번저 반응하여 착물을 형성하고 이 착물이 분석물과 반응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함.
4. 검출한계란 ?
주어진 신뢰수준에서 신호로 검출 될 수 있는 분석물의 최소 농도
5. 표준용액을 만들 때 제 1차 표준물질의 당량 무게가 작은 것 보다 큰 것을 쓰는 이유는 ?
- 1차 표준물의 무게를 달 때 당량 무게가 큰 것을 달수록 무게달기의 상대오차가 적어지게 되므로 더 정확한 농도의 표준용액을 만들 수 있기 때문
- 흡수 물질이 해리, 화합 등으로 인해 다른 물질로 될 때 화학적 편차가 생김.
- 단색 복사선이 아닌 다색 복사선을 사용할 경우, 산란 복사선이 함께 들어올 경우, 셀의 위치가 제현성이 없을 경우 기기적 편차가 생김.
반응형
LIST
'화학분석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학분석기사] 실기 내용 정리 ③ (2) | 2021.01.14 |
---|---|
[화학분석기사] 실기 내용 정리 ② (0) | 2021.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