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르게 생각하고 똑똑하게 말하라 – 파트 2: 실전편, 상황별 즉석 대화법

말하기에 대한 이론을 익혔다면, 이제는 실전에서 활용할 차례다. 책의 두 번째 파트에서는 다양한 상황에서 즉흥적으로 말하는 방법을 다룬다. 회의, 발표, 네트워킹, 인터뷰 등 각 상황에 맞는 전략을 배우면 어떤 자리에서도 당황하지 않고 조리 있게 말할 수 있다.


1. 회의에서 즉각적으로 의견 내는 법

회의에서 자신의 의견을 제대로 전달하지 못하고 지나가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중요한 순간에 한마디라도 제대로 하면 존재감을 높일 수 있다.

저자는 의견을 말할 때 "이해 – 연결 – 제안" 구조를 활용하라고 조언한다.

  • 이해: "이 문제는 [핵심 내용]에 대한 논의군요."
  • 연결: "저는 여기에 [관련 경험/정보]를 추가하고 싶습니다."
  • 제안: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구체적 제안]을 고려해 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이렇게 하면 논리적인 흐름을 유지하면서도, 짧고 명확하게 의견을 전달할 수 있다.


2. 발표에서 즉흥적으로 대처하는 법

발표 중 예상치 못한 질문이 나오거나, 갑자기 내용이 떠오르지 않을 때가 있다. 이때 당황하지 않고 대처하는 것이 중요하다.

저자는 "반복 – 구조화 – 요약" 전략을 추천한다.

  • 반복: "좋은 질문입니다. 즉, [질문 요약]"
  • 구조화: "이 부분을 크게 두 가지로 나눠 설명해 보겠습니다."
  • 요약: "결국, 핵심은 [핵심 메시지]입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시간을 벌면서도 논리적인 답변을 할 수 있다.


3. 네트워킹 자리에서 자연스럽게 대화하는 법

처음 만난 사람과의 대화는 어색할 수 있다. 특히 직장이나 행사에서 자연스럽게 대화를 시작하는 것이 어렵게 느껴지곤 한다.

저자는 **"IFR 기법"**을 추천한다.

  • Introduce (소개하기): "저는 [자기 소개]. 어떤 일 하세요?"
  • Follow-up (팔로우업 질문하기): "그 일은 어떤 점이 가장 흥미롭나요?"
  • Relate (연결하기): "저도 [관련 경험]이 있는데, 정말 흥미로운 분야네요."

이렇게 하면 부담스럽지 않게 대화를 이어갈 수 있다.


4. 면접에서 즉흥적으로 답변하는 법

면접에서는 예상하지 못한 질문이 나오기 마련이다. 이때도 논리적으로 대답할 수 있는 틀이 필요하다.

저자는 **"STAR 기법"**을 활용하라고 조언한다.

  • Situation (상황 설명): "제가 [과거 경험]에서 겪었던 일인데요."
  • Task (해야 했던 일): "그때 제 역할은 [역할]이었습니다."
  • Action (취한 행동): "그래서 저는 [구체적인 행동]을 했습니다."
  • Result (결과 정리): "그 결과, [성과]를 이끌어낼 수 있었습니다."

이렇게 하면 짧은 시간 안에 핵심을 전달할 수 있다.


5. 예상치 못한 질문에 답하는 법

갑작스럽게 질문을 받았을 때는 당황하지 않고 시간을 벌면서 논리적으로 정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저자는 **"BRIDGE 전략"**을 추천한다.

  • Acknowledge (질문을 인정하기): "좋은 질문입니다. 생각해 볼 만한 주제네요."
  • Bridge (연결하기): "이와 관련해서 제가 경험한 사례를 말씀드리자면…"
  • Deliver (핵심 전달하기): "결론적으로 중요한 것은 [핵심 메시지]입니다."

이렇게 하면 즉흥적으로도 자신감 있는 답변을 할 수 있다.


정리

이 책에서 강조하는 핵심은 ‘즉흥적인 말하기도 충분히 연습으로 개선할 수 있다’는 점이다. 상황별로 적절한 말하기 구조를 익히고, 연습을 반복하면 어떤 자리에서도 논리적으로 말할 수 있다.

지금까지 말하기가 어려웠다면, 이 전략들을 활용해 하나씩 적용해 보자. 작은 변화가 쌓이면 결국 자신감 있는 커뮤니케이션 능력으로 이어질 것이다.

반응형
LIST

 

빠르게 생각하고 똑똑하게 말하라 – Part 1: 스탠퍼드식 커뮤니케이션 6가지 기술

"말을 잘하는 사람들은 타고난 걸까?"
많은 사람들이 스스로 말솜씨가 부족하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명확하고 똑똑하게 말하는 능력은 타고난 재능이 아니라, 연습과 기술을 통해 충분히 배울 수 있다.

스탠퍼드 대학교 인기 강의에서 출발한 맷 에이브러햄스의 책 빠르게 생각하고 똑똑하게 말하라는 즉각적인 대화와 발표 상황에서 당황하지 않고 효과적으로 말하는 방법을 알려준다.
이 글에서는 Part 1: 이론편 – 스탠퍼드식 커뮤니케이션 6가지 기술을 정리해보았다.


 1. 말할 내용이 떠오르지 않을 땐 "구조화"하라

"할 말이 생각나지 않을 때 가장 좋은 방법은 프레임워크를 활용하는 것이다."

갑작스러운 질문을 받거나 발표할 때, 머릿속이 하얘지는 순간이 온다.
이때 효과적인 프레임워크(틀)를 활용하면 빠르게 논리를 정리할 수 있다.

✔ 대표적인 3가지 프레임워크

- 과거 – 현재 – 미래: 어떤 문제를 설명할 때
- 문제 – 해결책 – 효과: 설득력 있는 주장할 때
- 세 가지 핵심 포인트: 내용을 간결하게 정리할 때

 

💡 예시

  • ❌ "음... 저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데요..." (막연한 반박)
  • ✅ "과거에는 X 방식이 효과적이었지만, 현재는 Y 방식이 더 유용합니다. 미래에는 Z 방식까지 고려해야 합니다." (논리적으로 정리된 대답)

 2. 긴장될수록 "몸부터 컨트롤"하라

"불안한 몸짓이 불안한 생각을 만든다."

중요한 발표나 대화에서 긴장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다.
하지만 긴장감을 줄이고 자신감을 높이려면 신체를 먼저 컨트롤해야 한다.

✔ 실천법

- 심호흡: 깊게 숨을 들이마시고 천천히 내쉬어라.
양손 사용: 손을 자연스럽게 움직이면 생각도 정리된다.
- 속도 조절: 너무 빠르게 말하지 말고, 천천히 차분하게 전달하라.

 

💡 예시

  • ❌ "어... 음... 그러니까..." (긴장한 채 머뭇거림)
  • ✅ (천천히 심호흡 후) "제가 말씀드리고 싶은 핵심은 세 가지입니다." (자신감 있는 시작)

 3. 즉흥적으로 말해야 할 땐 "즉각 반응 + 연결"

"완벽한 문장을 만들려 하지 말고, 먼저 반응한 뒤 자연스럽게 연결하라."

누군가 갑자기 질문을 던졌을 때, 바로 대답하려고 하면 머리가 하얘질 수 있다.
이때 즉각적인 반응과 연결을 활용하면 자연스럽게 대화를 이어갈 수 있다.

✔ 실천법

- 즉각적인 반응: "좋은 질문입니다!", "흥미로운 주제네요."
- 연결: 상대방의 말에서 핵심 단어를 가져와 내 의견과 연결하기

 

💡 예시

  • ❌ "음... 잘 모르겠는데요..." (어색한 침묵)
  • ✅ "좋은 질문입니다! 이와 관련된 제 경험을 말씀드리자면..." (즉각 반응 + 연결)

 4. 핵심을 강조하려면 "스토리텔링"을 활용하라

"이야기는 사람들의 기억에 오래 남는다."

딱딱한 정보나 데이터를 나열하는 것보다, 짧은 이야기를 활용하면 메시지가 훨씬 강력해진다.

✔ 실천법

- 개인 경험을 활용하라: 직접 경험한 이야기일수록 설득력이 높다.
- 감정을 담아라: 감정이 실린 이야기는 더 강한 공감을 얻는다.
- 구체적인 장면을 그려라: "어느 날 아침, 커피를 마시며..."처럼 생생한 묘사를 추가하라.

 

💡 예시

  • ❌ "설득력 있는 말하기는 중요합니다." (평범한 문장)
  • ✅ "제가 처음 발표를 했을 때, 너무 긴장해서 원고를 읽기만 했어요. 그런데 한 친구가 저에게 '네가 직접 겪은 이야기를 들려줬으면 좋았을 것 같아'라고 하더군요. 그 후로 저는 발표할 때 항상 짧은 이야기를 넣습니다." (스토리텔링 활용)

 5. 말이 길어지지 않도록 "3요소 원칙"을 따르라

"너무 많은 정보를 주면 핵심이 묻힌다."

말을 조리 있게 하려면 항상 3가지 요소로 정리하라.
이는 사람들의 기억에 가장 잘 남는 구조이기도 하다.

✔ 실천법

- 3가지 핵심 포인트를 정하라: "제가 강조하고 싶은 것은 세 가지입니다."
- 불필요한 말 줄이기: 핵심만 전달하고 군더더기는 제거하라.
- 각 포인트를 짧게 요약하라: 핵심을 강조하려면 반복도 효과적이다.

 

💡 예시

  • ❌ "이 주제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첫째는... 둘째는... 그리고 또 하나는..." (너무 많은 정보)
  • ✅ "이 주제에서 가장 중요한 세 가지는 A, B, C입니다." (명확한 구조)

 6. 청중을 사로잡으려면 "상호작용"하라

"일방적으로 말하기보다 대화를 만들어라."

좋은 스피치는 청중과의 소통이 필수다.
질문을 던지고, 청중의 반응을 유도하면 몰입도를 높일 수 있다.

✔ 실천법

- 질문을 던져라: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 이름을 불러라: 상대의 이름을 언급하면 집중도가 높아진다.
- 즉각적인 피드백을 반영하라: 청중의 반응에 따라 유연하게 대처하라.

 

💡 예시

  • ❌ "오늘 발표 주제는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입니다." (일방적인 전달)
  • ✅ "여러분, 대화할 때 가장 어려운 점이 무엇인가요?" (질문으로 시작)

 결론 – 스탠퍼드식 커뮤니케이션 6가지 기술로 말하기 실력 UP!

빠르게 생각하고 똑똑하게 말하라 Part 1: 스탠퍼드식 커뮤니케이션 6가지 기술즉각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실전 말하기 기술을 제공한다.

 

말할 내용이 떠오르지 않을 땐 구조화하라.
긴장될수록 몸을 컨트롤하라.
즉흥적으로 말할 땐 즉각 반응 + 연결을 활용하라.
스토리텔링으로 핵심을 강조하라.
말이 길어지지 않도록 3요소 원칙을 따르라.
청중과의 상호작용을 늘려라.

 

이제 다음 대화나 발표에서 이 기술들을 직접 활용해 보자.
어떤 변화가 생기는지 스스로 체감할 수 있을 것이다!

반응형
LIST

+ Recent posts